바이오노트는 지난 7월 23일부터 24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12회 영남수의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영남수의컨퍼런스는 영남 지역에서 최대 규모로 열리는 학회로서, 국내 제3대 컨퍼런스로 꼽힌다. 영남컨퍼런스가 코로나19로 인해 지난 2년간 연속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된 바 있으며, 오프라인 대면 행사로 열린 것은 3년 만이다. 이번 컨퍼런스는 ‘Back to basic’을 주제로 하여, 이틀간 31명의 강사가 내과, 치과, 피부, 심장 등 다양한 주제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코로나 확산세에도 불구하고 1,000여 명의 많은 수의사 및 수의대 학생이 컨퍼런스를 찾았다. 바이오노트는 부스 운영을 통해 올 8월에 출시될 고양이 심장 바이오마커 Vcheck Feline TnI 키트를 적극 홍보했다. 샘플키트 증정도 이루어져 현장 호응도가 매우 높았다. Feline TnI는 고양이의 혈청 검체 내의 Troponin I를 정량 측정할 수 있는 검사로, 바이오노트 사의 형광면역분석장비인 Vcheck로 측정할 수 있다. 특히, 고양이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심장병인 비대성 심근증(HCM)의 스크리닝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바이오노트 사의 Vcheck 장비는 면역측정장비 분야에서 국내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많은 Vcheck 사용 고객이 부스에 방문하여 신제품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바이오노트는 하반기에 예정된 부산, 영남, 서울 및 경기수의컨퍼런스에도 참석하여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부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고양이 심근 손상을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Vcheck Feline TnI 키트가 7월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내 허가를 완료했으며, 오는 8월 15일 출시 예정이다. 바이오노트 사의 형광면역분석장비인 Vcheck는 개, 고양이에서 각각 정량 측정이 가능한 NT-proBNP와 Troponin I 키트의 사용이 가능하다. Troponin I(TnI)는 심장근 수축에 주요 역할을 하는 트로포닌 복합체 중 하나로, 심근 손상 시 혈중으로 방출된다. 이 같은 특성을 활용해 심근 손상을 유발하는 다양한 질환에서 유용한 진단 및 예후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고양이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심장질환인 비대성 심근증(HCM, Hypertrophic Cardiomyopathy)의 스크리닝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임상증상이 없는 고양이라고 할지라도 HCM의 발병 가능성이 약 15%이며, 9년령 이상의 노령묘의 경우 그 가능성이 약 30%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1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심근증이 있는 고양이에서의 TnI 마커의 유용성은 미국수의내과학회(ACVIM) consensus2에서도 확인된다. 심장병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TnI의 적용을 통해 정상군과 subclinical HCM의 감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TnI 농도가 높을수록 심혈관 사망 가능성도 커지므로, 예후 인자로서 고려할 수 있다. 바이오노트 마케팅 담당자에 따르면, “Feline TnI 키트를 적용하면 기존의 NT-proBNP 마커와 함께 무증상 고양이의 심근증 스크리닝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며, “올 9월에는 고양이 HCM과 바이오마커에 관한 심도 깊은 웨비나를 개최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바이오노트는 Vcheck Feline TnI 키트의 국내 런칭을 기념하며, Vcheck Feline NT-proBNP 키트 주문 시 Feline TnI 2T 샘플을 증정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프로모션은 8월 15일부터 재고 소진 시까지 진행되며, 공식 판매 대리점인 ㈜바이오라인(TEL: 031-268-7960) 또는 ㈜프로챌코리아(TEL: 031-8084-3010)에 문의할 수 있다. Vcheck Feline TnI 진단 키트 바로가기 (Reference: 1. Payne JR, Brodbelt DC, Luis Fuentes V. Cardiomyopathy prevalence in 780 apparently healthy cats in rehoming centres (the CatScan study). J Vet Cardiol. 2015 Dec;17 Suppl 1:S244-57. 2. Luis Fuentes V, Abbott J, Chetboul V, Côté E, Fox PR, Häggström J, Kittleson MD, Schober K, Stern JA. ACVIM consensus statement guidelines for the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ardiomyopathies in cats. J Vet Intern Med. 2020 May;34(3):1062-1077.)
바이오노트가 지난 2일 주최한 ‘고양이 염증 진단과 바이오마커’ 웨비나는 600명에 가까운 수강생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닥터캣고양이병원의 유현진 원장이 연자로 나섰다. 유현진 원장은 식욕부진, 체중 감소, 기력저하 등의 비특이적인 임상증상을 가지고 내원하는 고양이에서 염증 스크리닝 목적의 SAA 검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SAA (Serum amyloid A)는 염증 자극 시에 간에서 분비되는 급성기단백질 중 하나로서, 고양이에서 유용한 염증 지표이다.조직 손상, 감염, 근골격계 질환 등의 염증 자극이 주어지면 단핵구와 대식세포가 활성화되어, IL-6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유발한다.이는 간을 자극하여 CRP, SAA, Haptoglobin과 같은 여러 급성기단백질이 분비되면서 백혈구증가증을 포함한 전신 염증반응을 유발한다. <염증 자극 시, 급성기단백질의 분비 메커니즘>이와 같이, 백혈구 증가보다 급성기단백질의 분비가 먼저 나타나기 때문에 염증 상황에서 WBC 수치보다 SAA 수치의 증가를 먼저 관찰할 수 있다.SAA는 염증 자극 3시간만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48-72시간 후에 고점에 도달한다. 급성 및 만성 염증, 감염, 괴사, 부상, 악성 종양 등의 상황에서 증가한다.따라서, SAA는 염증 또는 감염의 초기 진단이 가능한 마커로서, 임상증상이 있는 고양이에서 기본 검사 항목으로 고려된다. 수술이 필요한 고양이에서 모니터링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수술 2-3일 후 SAA 수치가 최고점에 도달하고, 7일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지만, 계속해서 높은 SAA 수치가 유지되는 경우 수술 후 재감염이 있음을 암시한다.단, 간질환이 있는 경우 급성기단백질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므로 염증 상황에서도 SAA 수치가 낮을 수 있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연자는 만성 부비동염, 바이러스감염증(herpes, calici) 및 고양이전염성복막염(FIP) 등의 여러 질환에서 SAA를 활용한 증례 소개를 통해 임상적 활용성을 쉽게 안내했다. 바이오노트는 지난 3월 고양이 전용 염증 진단•모니터링 마커인 Vcheck Feline SAA 3.0 키트를 출시했다(상세보기).바이오노트 관계자는 “신제품은 고양이 염증 진단의 민감도를 향상시킨 제품으로, 임상 현장에서 높은 호응도를 보이고 있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제품 구입 관련 사항은 공식 판매 대리점인 ㈜바이오라인(TEL: 031-268-7960) 또는 ㈜프로챌코리아(TEL: 031-8084-3010)에 문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