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노트는 ‘제58회 무역의 날’에서 ‘1억 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는 매년 12월 5일 무역의 날에 맞춰 기념식을 열고, 해외시장 개척, 일자리 창출 등 수출성과에 기여한 기업을 선정해 포상하고 있다. 바이오노트는 19년 업력을 보유한 동물용진단기기 전문 기업으로, 진단 시장 규모가 큰 미국과 중국 상하이에 지사를 두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가고 있다. 바이오노트는 국내 최초로 미국 농무부(USDA) 허가를 획득하고 메르스 간이진단키트 세계 최초 개발 및 OIE 인증 등 여러 제품의 정확도를 인정받아 해외 시장에 진출에 성공했다. 또한, 바이오노트는 자사 핵심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질병 진단을 위한 신속진단검사(Rapid), 형광면역검사(Vcheck), 효소면역검사(ELISA) 등 다양한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 특히, 바이오노트의 주력 진단기기인 Vcheck는 뛰어난 민감도를 가진 형광물질(Europium)을 기반으로 다양한 바이오마커의 정량 측정이 가능하여 국내외 높은 호응을 받고 있다. 국내외 누적 설치대수가 12,000대를 돌파하였으며, 전년 대비 110%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내년에는 시장 수요가 높은 혈청화학분석 장비와 현장에서 정량 PCR 검사가 가능한 POC 분자진단 장비를 추가로 출시하여 더욱 큰 폭의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심장판막의 퇴행성 변성으로 인한 심장병은 반려견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꼽힌다. 박희명 건국대 교수는 “완치보다 평생 관리라는 접근으로 환자별 맞춤형 처방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진 등 기본적인 신체검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바이오노트가 7일 주최한 ‘심장질환 도장깨기’ 웨비나에는 박희명 건국대 교수가 연자로 나섰다. 700여명의 수강생들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반려견 심장진단의 노하우’를 주제로 강연에 나선 박희명 교수는 심장질환의 병리학적 특성부터 각종 진단지표를 상세히 소개했다. 환자의 심장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는데 무게를 둔 것이다. 단발성 혈액검사나 엑스레이만으로 환자 상태를 오판해선 안 된다는 점도 지목했다. 특히 심장혈류 이상을 잡아낼 수 있는 청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희명 교수는 “조기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청진이다. 심장질환 대부분의 구조적·기능적 이상을 조기에 잡아낼 수 있다. 항상 열심히 해야 한다”면서 “방사선사진으로 심장질환을 알아챌 시점이면 이미 심장질환이 상당히 진행돼 재형성(remodeling)이 이뤄진 후”라고 지적했다. 최근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는 외과적인 판막성형술보다 내과적인 관리에 방점을 찍었다. 대부분 노령견에서 퇴행성 변화로 심장질환이 진행되는 만큼 외과적 수술에는 위험부담이 크고, 성공하더라도 사람처럼 장기간의 추가 수명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아울러 심장환자의 상황에 맞춰 단계적인 약물처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령 판막이상은 있지만 초기 보상작용이 잘 일어나고 있는 단계에서 필요 이상으로 강한 약을 사용하면, 장기적으로는 심장의 손상을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다. 조기 진단을 통해 심장재형성이 빠르게 진행되지 않도록 치료적으로 개입하되, 심장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약물을 선택하는 요령을 상세히 전했다. NT-proBNP, cTnI 등 심장질환의 바이오마커에는 반복 검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심장질환 여부를 판단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환자 수치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살피는 예후 판정 인자로서 활용가치가 높다는 것이다. 상황에 따라 약물을 선택하는 맞춤형 처방에도 이러한 바이오마커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박희명 교수는 “심장질환의 진행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지표를 온전히 이해해야 환자별 맞춤형 처방을 내릴 수 있다”면서 “지표의 변화를 보호자와 공유하면서 치료 순응도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오노트는 개 심근 손상에 특이적인 트로포닌 I(cTnI) 키트의 국내 품목허가를 8월 완료했다. 자사 형광면역분석장비인 Vcheck 기기로 정량 측정이 가능하다. 바이오노트 관계자는 “향후에도 수의사 분들께 유익한 내용을 제공하는 웨비나를 지속할 예정”이라며 “곧 SDMA를 활용한 신장병 진단에 관한 웨비나를 개최할 것”이라고 전했다. 출처: 데일리벳 https://www.dailyvet.co.kr/news/practice/companion-animal/153268
㈜Vcheck cCortisol 키트의 분석적 성능 평가를 주제로 한 논문이 SCIE급 국제저널 Medycyna Weterynaryjna에 발표되었다. (논문 full-version은 첨부파일 확인) (Paper: Medycyna Weterynaryjna 77(08):6562-2021) 개의 부신피질기능항진증 및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은 일차 동물병원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내분비 질환으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Cortisol 검사 및 결과 해석이 중요하다. 폴란드의 루블린 생명과학대학교에서 수행된 이 연구에서는 동물병원에 내원한 44마리 개에서 채취한 혈청 검체를 이용하여 Vcheck와 IMMULITE 2000 장비로 Cortisol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비교 평가를 통해 Vcheck cCortisol 키트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본 평가에서 기준 장비로 설정된 지멘스 사의 IMMULITE 2000은 경쟁적 효소증폭 화학발광면역분석법을 원리를 바탕으로 개 Cortisol 측정에 대해 성능이 입증되었으며, 대학병원 및 대형 실험실에서 호르몬 검사 장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IMMULITE 2000 및 Vcheck 장비로 측정한 Cortisol 농도는 피어슨 상관 분석과 단순 회귀 분석법을 사용하여 비교되었으며, 두 장비 간 일치도는 Bland-Altman plot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피어슨 상관 분석 결과, 두 장비로 측정한 Cortisol 농도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r=0.94, 그래프-1)를 보였으며, Bland-Altman 일치도 검정을 통해 기준 장비와 Vcheck의 측정 결과가 유사함이 확인되었다(그래프-2). 따라서, 개 Cortisol 측정에 대한 성능이 검증된 기존 장비와의 비교를 통해 Vcheck cCortisol 진단 키트가 개 혈청 검체의 Cortisol 농도 측정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Vcheck cCortisol은 형광면역측정장비인 Vcheck를 이용하여 정량 측정이 가능하며, 적은 양의 검체(혈청 50μl)로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측정 범위가 1~30µl/dl로 넓어 부신 내분비 질환의 진단 및 모니터링에도 적합하다.